브라질-아르헨티나 '무역갈등' 고조
2012.2.22
아르헨 보호주의 강화..브라질 "통상질서 훼손"
남미 양대국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간의 무역갈등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아르헨티나가 무역장벽을 높이면서 브라질이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브라질 일간지 폴랴 데 상파울루는 21일(현지시간) 브라질 개발산업통상부와 브라질국제운송협회 등의 자료를 인용해 "아르헨티나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양국 간 통상 질서가 크게 훼손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 정부가 까다로운 수입 사전허가제도를 도입한 이후 국경 무역이 상당한 타격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아르헨티나의 수입업체들은 정부로부터 수입품목에 대해 일일이 사전허가를 받아야 하며, 아르헨티나 정부는 수입허가를 최대한 늦추고 있다. 이 때문에 브라질 제품을 실은 트럭이 국경을 통과하지 못하고 있고, 창고는 빠져나가지 못한 물건으로 가득 차 있으며, 수출입 계약이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지난해 브라질의 아르헨티나에 대한 수출은 227억 달러지만, 아르헨티나 측에서 실제 수입한 액수는 169억 달러였다. 58억 달러에 해당하는 브라질산 제품의 발이 묶인 셈이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브라질과의 무역 불균형을 해결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아르헨티나 산업의 성장에 필요한 원자재와 장비 부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브라질로서는 글로벌 무역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아르헨티나 정부의 이 같은 조치로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킬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세계경제위기에 대응해 무역흑자와 보유 외환을 적정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수입장벽을 갈수록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의 다른 회원국들이 큰 불만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브라질의 보복을 부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브라질 최대 경제단체인 상파울루 주 산업연맹(Fiesp)은 아르헨티나 정부의 보호무역 조치로 브라질산 수출제품의 80%가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강력한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