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 열차사고로 정부보조금 폐지 논란(2.24)
관리자 | 2012-02-24 | 조회수 : 1188
아르헨, 열차사고로 정부보조금 폐지 논란
2012.2.24
"철도 부문 투자 부족도 대형 사고 원인"
아르헨티나 정치권에서 열차 충돌사고를 계기로 정부의 보조금 지급 정책에 대한 비판론이 제기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브라질 일간지 폴랴 데 상파울루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야권은 정부의 보조금 지급 정책이 대중교통 환경 개선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기 정부를 출범시킨 이후 전력과 상수도 분야에 대한 보조금을 없앴다. 그러나 열차와 버스 등 대중교통에 대한 보조금은 국민적 반발을 우려해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야권은 "보조금이 철도 차량 교체 등에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최근 들어 열차와 관련된 사고가 늘어난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고 말했다. 보조금을 지급할 것이 아니라 시설 개선에 투자해 사고 발생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는 논리다.
실제로 지난 한 해 동안에만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차와 관련된 사고가 모두 5차례 발생해 23명이 사망하고 300여 명이 부상했다.
이에 대해 후안 파블로 치아비 교통장관은 "열차 사고는 미국과 브라질 등 다른 나라에서도 일어난다"고 반박하면서 "불필요한 논란"이라고 일축했다.
아르헨티나 정부의 투자 부족 때문에 열차 사고가 빈발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아르헨티나 교통개발정책연구소의 안드레스 핀게레트 소장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은 대부분 자동차를 위한 인프라를 우선하며, 아르헨티나도 마찬가지"라면서 "철도에 대한 투자가 이뤄지지 않은 것이 이번과 같은 참사를 가져왔다"고 강조했다.
핀게레트 소장은 "자동차를 선호하는 문화가 정부 당국의 투자를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면서 철도 분야에 대한 투자에 관심을 둬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날 아침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부 온세 역에서 발생한 열차 충돌사고로 50명이 사망하고 700여 명이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가운데는 파라과이인 4명이 포함됐으며, 페루인 2명은 실종 상태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