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알림
정보/알림
중남미소식
공지사항
중남미소식
중남미포럼
주한중남미공관소식
공공 및 기업 오퍼
회원게시판
신간안내
K-Amigo (계간지)
구인/구직
중남미소식
아르헨 정치권, '열차 참사' 놓고 공방(2.25)
관리자 | 2012-02-27 |    조회수 : 1122
아르헨 정치권, '열차 참사' 놓고 공방

2012.2.25

철도 보조금 폐지, 국유화 필요성 제기

아르헨티나 정치권이 열차 충돌사고를 놓고 날카로운 공방을 벌이고 있다. 야권은 정부 책임론을 제기하며 공세를 펴고 있고, 정부는 사고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하겠다며 수습에 나섰다.

24일(현지시간) 브라질 언론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야권은 경찰 조사와는 관계없이 정부가 사고에 대해 전반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화감독이자 연방하원의원인 페르난도 솔라나스는 전날 "정부는 열차 운영회사인 TBA에 대한 관리 감독 소홀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민간업체인 TBA에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야권은 정부의 보조금 지급 정책이 철도 교통 개선에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며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에게 보조금을 폐지하라고 촉구했다.

페르난데스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2기 정부를 출범시킨 이후 전력과 상수도 분야에 대한 보조금을 없앴다. 그러나 열차와 버스 등 대중교통에 대한 보조금은 국민적 반발을 우려해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야권은 "보조금이 노후화된 열차 교체 등에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열차와 관련된 사고가 늘어난 사실이 이를 입증한다"고 말했다.

사회주의 계열의 정치인 크리스티안 카스티요는 철도 교통의 국유화를 촉구했다. 노동계도 "정부가 철도 교통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거들었다.

이에 대해 TBA의 고위 관계자는 "사고 당시 열차를 정상적으로 운행했고, 기관사의 실수로 사고가 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가 거센 비판을 받았다. 후안 파블로 치아비 교통장관과 훌리오 데 비도 기획장관은 사고 원인을 묻는 언론의 질문 공세를 피하고 있다.

철도에 대한 투자 부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아르헨티나 경제학자인 마리나 달 포게토는 "교통 부문이 1990년대 국가에서 민간기업의 손으로 넘어가면서 관리가 소홀해졌고, 인프라는 20년 전 수준 그대로"라면서 "그러나 중요한 것은 국가든 민간기업이든 철도 부문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아르헨티나 교통개발정책연구소의 안드레스 핀게레트 소장도 "철도 부문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이 이번과 같은 참사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2일 아침 부에노스아이레스 서부 온세 역에서 발생한 열차 충돌사고로 50명이 사망하고 700여 명이 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최소한 12명이 실종된 상태다.

이는 아르헨티나에서 일어난 열차 사고 가운데 역대 세 번째로 큰 피해 규모다.

1970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주 북부지역에서 발생한 열차 충돌사고로 236명이 사망했고, 1978년에는 중부 산타페 시에서 열차와 트럭의 충돌로 55명이 숨지고 56명이 부상했다. 지난해에는 열차와 관련된 사고가 모두 5차례 발생해 23명이 사망하고 300여 명이 부상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목록
삭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