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알림
정보/알림
중남미소식
공지사항
중남미소식
중남미포럼
주한중남미공관소식
공공 및 기업 오퍼
회원게시판
신간안내
K-Amigo (계간지)
구인/구직
중남미소식
기후변화협약 피게레스 사무총장 (10.23)
관리자 | 2012-10-23 |    조회수 : 938
<인터뷰> 기후변화협약 피게레스 사무총장

2012.10.23

"GCF 1천억 달러 조성은 2020년부터"

크리스티아나 피게레스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총장은 최근 문구 해석상의 차이가 불거진 
녹색기후기금(GCF)의 규모와 관련해 2020년부터 한 해 1천억 달러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후변화 장관급 회의에 참석하려고 한국에 온 피게레스 사무총장은 지난 22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2020년부터(starting 2020) 매년 1천억 달러로 개발도상국을 돕겠다는 게 선진국들의 약속"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2010년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제16차 UNFCCC 당사국 총회의 합의문은 GCF의 규모를 '2020년까지
(by 2020) 한 해 1천억 달러로 늘린다'라고 표현했다.

이 때문에 한국이 GCF 사무국을 유치하자 올해까지 모으는 긴급자금 300억원을 포함해 2020년에는 
전체 기금 규모가 8천300억 달러에 달한다는 계산도 나왔다.

그러나 사무총장의 견해와 달리 개발도상국들은 당장 내년부터 매년 1천억 달러를 모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다음달 카타르에서 열리는 제18차 당사국 총회에서 이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

피게레스 사무총장은 자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제시한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을 높이 평가했다.

일부 의무감축 국가가 2차 공약기간에 불참하기로 한 교토의정서와 가격 하락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유럽연합(EU)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실효성이 있다며 옹호했다.

피게레스 사무총장은 2010년 UNFCCC 사무총장에 임명되기 전 코스타리카 기후 부문 외교관으로 활동했다. 
호세 피게레스 전 코스타리카 대통령의 딸이다.

다음은 일문일답.

--녹색기후기금의 규모를 놓고 혼선이 있다. 언제부터 매년 1천억 달러를 모으나.

▲선진국들은 처음 3년 동안 300억 달러에서 2020년까지 한 해 1천억 달러로 늘리기로 약속했다. 
기금을 정확히 얼마나 늘릴지 아직은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2020년부터 매년 1천억 달러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겠다는 선진국들의 약속은 공고하다.

--2차 공약기간에 일부 선진국이 불참해 교토의정서가 실효성을 잃었다는 지적이 있다.
▲현재 EU와 노르웨이, 스위스가 서명을 하려 하고 있다. 호주와 뉴질랜드도 함께 할 것인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하지만 호주나 뉴질랜드의 동참이 교토의정서의 실효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교토의정서에는 공약기간의 규칙과 규제가 공고하게 자리잡고 있다. 
전체 탄소 배출량을 얼마나 감축하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새로운 기후체제가 세워지기 전에 전세계 탄소 배출량 감축과 관련해 법적 실효성이 있는 수단으로 
존재한다는 게 중요하다.

--한국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한국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평가는.

▲한국은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나라 가운데 하나다. 탄소를 감축할 의무는 없지만 48개 개도국과 함께 NAMA(Nationally Appropriate Mitigration Actionㆍ자발적 온실가스 감축행동)에 동참하고 있다. 
2020년까지 BAU(Business As Usualㆍ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0%를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녹색성장 전략과 기술, 재정을 통해 이를 실현할 것이다. 
한국은 녹색성장에 대한 이해와 실행에서 분명히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온실가스 감축을 둘러싼 선진국과 개도국의 견해 차이를 줄일 방안은.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이 궁극적으로 자국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을 인식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에너지 효율성을 높여 온실가스를 줄이고자 하는 나라들은 그것이 자국에 이익이 된다는 점을 인식한다. 
지구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실제로 자국에 이익으로 돌아간다는 점이 중요하다.

--EU의 탄소배출권 거래제도가 실패했다는 평가도 있다.

▲아무도 그렇게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EU는 처음으로 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했고 지금도 열정적이다. 
호주가 EU의 배출권 거래제와 비슷한 탄소가격 책정 체제를 만들기로 한 것은 EU의 제도가 성공적이라는 
증거다. 
점점 많은 나라가 배출권 거래제를 준비하거나 이미 시행하고 있다. 
내년까지 33개 나라가 어떤 방식이든 탄소 가격을 매기는 장치를 만들 것으로 예상한다.

--2020년 이후 새 기후변화 대응 체제는.

▲새 기후체제는 2015년까지 결정되는데 여러 과제가 있다. 먼저 새 기후체제가 모든 국가에 공평하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모든 나라에 같은 방식으로 적용돼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각국이 처한 상황의 차이는 인정될 것이다. 
새 기후체제는 교토의정서보다 큰 목표를 지향해야 한다.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량과 기온 상승의 최대치를 2도 이하로 유지하는데 필요한 감축량 사이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다.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목록
삭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