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좌파 탄압 '콘도르 작전'은 브라질이 주도"
2012.11.28
인권운동가, 과거사 청산 진실위에서 증언
브라질의 과거 군사독재정권이 남미 지역에서 좌파 인사 색출을 위해 벌어진 '콘도르 작전'을 사실상
주도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7일(현지시간) 국영 뉴스통신 아젠시아 브라질에 따르면 인권운동가인 자이르 크리시케는 전날
국가진실위원회 증언에서 브라질 군사정권이 콘도르 작전 계획을 세우고 지휘하는 위치에 있었다고
주장했다.
크리시케는 브라질 군사정권과 콘도르 작전의 관련설을 입증하는 관련 문건을 진실위에 제출했다.
'콘도르 작전'은 1975년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브라질, 칠레,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남미 6개국
군사정권 정보기관 책임자들의 합의로 진행됐다.
겉으로는 좌익 게릴라 세력 척결을 내세웠으나 실제로는 반체제 성향의 사회·노동운동가, 지식인들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추적·납치·살해 행위를 저질렀다.
'콘도르 작전' 때문에 10만여 명이 사망하고 40만여 명이 고문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 정부는 지난 5월 7명의 위원으로 구성된 진실위를 출범시켰다.
진실위는 군사정권 기간을 포함해 1946~1988년 저질러진 인권탄압 사례를 조사하고 진실을 밝히는
작업을 벌일 계획이다.
활동 시한은 2년간이며 2014년 5월 보고서를 작성해 공개할 예정이다.
진실위는 지난 9월 '콘도르 작전'의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진실위는 "남미 6개국 군사정권은 아르헨티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은밀하게 만나 작전을
모의했다"면서 "'콘도르 작전'은 군사정권의 조직적이고 중대한 인권 탄압 행위였다"고 주장했다.
한편 브라질에서는 1964년 3월31일 군사 쿠데타를 기점으로 1985년까지 21년간 군사독재정권이 계속됐다.
그러나 1979년 사면법이 제정되는 바람에 인권탄압 연루자들은 이렇다 할 처벌을 받지 않았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