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 대형 유통매장 전 상품 2개월 가격동결
관리자 | 2013-02-06 | 조회수 : 1185
아르헨, 대형 유통매장 전 상품 2개월 가격동결
2013/2/5
치솟는 물가에 초고강도 긴급처방
아르헨티나 정부가 치솟는 물가를 잡기 위해 대형 유통매장에서 판매되는 전 상품에 대해 2개월간 가격을 동결하는 초고강도 긴급처방을 내놨다.
아르헨티나 상무부는 오는 4월1일까지 월마트, 코토, 점보, 디스코 등 대형 유통매장에서 판매되는 모든 상품에 대해 2개월간 한시적으로 가격을 동결한다고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적용 대상은 나라 전체 유통업의 70%에 달한다.
상무부는 소비자들이 영수증을 보관해달라며 만일 가격이 오른 상품이 있다면 정부에 신고해달라고 덧붙였다.
아르헨티나 정부가 이처럼 초고강도의 물가잡기 대책을 내놓은 것은 치솟는 물가에 국민의 분노가 들끓고 있기 때문이다.
가파른 물가 상승은 실업 증가, 치안 불안 등과 맞물려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연말 주요 도시에서는 약탈 행위가 불거지기도 했다.
2기 집권 2년째로 접어든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59·여) 정부의 지지도는 바닥권으로 곤두박질 쳤다.
정부 산하 국립통계센서스연구소(Indec)는 지난해 물가상승률을 10.8%로 발표했다. 그러나 컨설팅업체들은 25.6% 안팎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올해 물가상승률도 10%로 예상했으나 민간에선 24~25%로 내다보고 있다.
Indec가 발표한 인플레 수치는 국내 학계와 민간은 물론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도 신뢰를 얻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통계를 조작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것이다.
정부가 Indec 운영에 개입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공식적인 누적 인플레율은 56%다. 그러나 민간 컨설팅업체들은 153%, 지방정부와 연구기관들은 200%를 넘는다고 말한다.
컨설팅업체 아베세브닷컴의 이코노미스트 솔레다드 페레즈 두할데는 과거 비슷한 조치들이 실패했음을 상기시키고 "이번 가격동결 조치는 단기효과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물가를 잡는 효율적인 방법은 통화공급을 확대하는 정부 지출을 줄이고 신뢰할만한 물가 지표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IMF는 오는 9월까지 소비자물가를 비롯한 경제 지표들을 국제 표준에 맞게 고치라고 요구하고, 만일 아르헨티나가 고치지 않으면 기구에서 배제하겠다고 경고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AP=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