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알림
정보/알림
중남미소식
공지사항
중남미소식
중남미포럼
주한중남미공관소식
공공 및 기업 오퍼
회원게시판
신간안내
K-Amigo (계간지)
구인/구직
중남미소식
[경향으로 보는 ‘그때’]2001년 12월 아르헨티나 디폴트 선언(2.6)
관리자 | 2014-02-07 |    조회수 : 1225
[경향으로 보는 ‘그때’]2001년 12월 아르헨티나 디폴트 선언

2014.02.06 22:25:12

미국이 자산매입 규모를 100억달러 줄이는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 여파로 아르헨티나·터키·러시아 등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페소화 가치가 폭락하고, 외환보유액이 급감한 아르헨티나는 금융위기에 직면해 있다. 

경향신문은 2001년 12월25일자 1면에 ‘아르헨티나 디폴트 선언’ 기사를 싣고, 8·10면에 해설기사를 게재했다. 경향신문은 기사에서 “아르헨티나 정부는 1320억달러의 외채에 대해 사상 최대 규모의 채무불이행(디폴트)을 선언했다”고 보도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페소화의 평가절하를 거부하고, 페소화를 미국 달러화에 1 대 1로 연동시킨 고정환율제를 고수한다”고 밝혔다. 브라질·멕시코와 더불어 중남미 지역 경제의 삼각축을 형성하고 있는 아르헨티나는 디폴트를 선언하기 전부터 심각한 경제위기를 겪었다. 1983년 금융위기를 국제통화기금(IMF)의 지원으로 극복한 아르헨티나는 국가채무를 줄이고, 비효율적인 경제구조를 개혁해 한때 경제성장률이 10%를 넘기도 했다. 그러다 1994년 최대 교역국인 멕시코가 외환위기를 겪게 되면서 아르헨티나도 IMF의 재정지원을 받게 됐다. 

아르헨티나가 2001년 12월 디폴트까지 선언하게 된 것은 주력 수출품목인 농산물 가격의 폭락과 20%를 웃도는 실업률, 방만한 재정운용에 따른 국가부채의 증가 때문이었다. 아르헨티나에 134억달러를 지원했던 IMF는 추가 자금지원 계획이 없다고 밝혔고, 무디스·피치 등 신용평가사들은 아르헨티아의 국가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했다.

당시 아르헨티나 정부가 디폴트를 선언하고 페소화 평가절하를 거부한 것은 경제파국을 막기 위한 고육책이었다. 달러화와 1 대 1로 묶여 있던 페소화의 가치가 떨어지면 국가 부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아르헨티나는 IMF와 3년간 채무상환을 유예하는 내용의 ‘금융구제안’에 합의했다. IMF는 채무상환을 유예해주는 대신 아르헨티나 정부에 기업 구조조정, 이중환율제도 폐지, 공공부문 개혁 등 혹독한 구조조정 프로그램 이행을 요구했다.

금융위기 여파로 침체돼 있던 아르헨티나 경제는 2005년 대외채무 재조정에 성공하면서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며 9.2%의 성장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르헨티나는 지난해부터 무역수지 적자 폭이 커진 데다 외환보유액이 280억달러 수준으로 감소하면서 금융위기 상황에 몰려 있다. 디폴트를 선언한 지 13년 만에 아르헨티나에 불어닥친 금융위기가 먼 나라의 일로만 여겨지지는 않는다.

경향일보 박구재 경제에디터 goodpark@kyunghyang.com 

목록
삭제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