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생산공장 ⅓은 논다…"성장둔화 원인"
2014/05/05
가동률 67.9%…2003년 이래 최저 수준
아르헨티나의 생산공장 가동률이 7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공장 가운데 3분의 1이 사실상 가동 중단 상태라는 뜻이다.
4일(현지시간) 브라질 일간지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 등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정부 통계기관인 국립통계센서스연구소(INDEC)는 지난 3월 말 현재 공장 가동률이 67.9%에 그쳤다고 밝혔다.
3월 가동률은 아르헨티나 경제가 사상 최악의 위기(2001∼2002년)를 벗어나기 시작한 지난 200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전문가들은 낮은 공장 가동률이 경제활동 둔화를 의미하며 성장둔화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고 분석했다.
INDEC는 2012년 대비 지난해 성장률이 3%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민간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지난해 성장률은 2.9%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성장률을 0.5%로 전망했다.
정부의 수입규제 강화도 경제활동 위축을 가져오는 원인으로 지적된다.
정부는 국내 산업 보호와 달러화 국외유출 억제를 위해 수입장벽을 높이고 있지만, 생산원료까지 수입규제에 묶이는 바람에 기업들은 애를 먹고 있다.
3개월째 계속되는 정부의 가격동결 조치도 경기 침체의 요인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정부는 지난 1월 초 194개 생필품의 판매가격을 동결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대상은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를 포함한 일부 도시에 한정했다. 그래도 인플레율 상승 압력이 계속되자 가격동결 품목을 302개로 늘리고 대상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가격동결 조치는 인플레율을 억제하는 효과를 일부 냈으나 기업들이 생산을 의도적으로 줄이는 등 부작용을 낳고 있다.
아르헨티나 재계 단체들은 정부가 경제에 지나치게 개입해 시장을 왜곡하지 말고 성장률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향으로 거시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는 건의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대통령이 현 정부의 정책 기조를 바꾸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fidelis21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