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 외화보유액 계속 감소…"수입규제로 못 막아"
2014/03/03
2011년 말 이후 40% 줄어…브라질 수출업체 직격탄
아르헨티나 정부가 수년째 수입장벽을 높이고 있으나 외화보유액 감소세를 막는 데는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2일(현지시간) 브라질 일간지 에스타도 데 상파울루에 따르면 크리스티나 페르난데스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지난 2011년 10월 대선에서 재선에 성공해 2기 정부를 출범시킨 이후 지금까지 외화보유액은 40% 넘게 감소했다.
2011년 1월 526억5천4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외화보유액은 2기 정부 출범 당시 476억 달러로 줄었고 현재는 276억 달러에 그치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외화보유액은 올해 들어서만 30억 달러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외화보유액이 올해 말 220억∼250억 달러를 기록하고, 내년에는 200억 달러 선이 붕괴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이 신문은 페르난데스 대통령 정부가 가장 큰 골칫거리 가운데 하나인 외화보유액 감소를 막으려고 다양한 조치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남미공동시장(메르코수르)의 최대 통상 파트너인 브라질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2012년 2월부터 수입사전허가제를 시행했다. 이 조치 때문에 그해 브라질의 아르헨티나에 대한 무역수지 흑자는 75% 감소한 15억6천만 달러에 불과했다.
2013년 브라질의 무역흑자가 31억5천만 달러로 증가하자 아르헨티나 정부와 중앙은행은 올해 들어 수입장벽을 잇따라 높이고 있다.
중앙은행은 수입업체들에 대해 수입대금 결제 시기를 수입 후 30∼45일에서 90∼180일로 늦추라고 요구했다.
정부는 20만 달러를 넘는 수입은 중앙은행의 사전허가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했다. 수입액이 20만∼30만 달러일 때는 중앙은행으로부터 '긴급허가'를 받아야 하고, 30만 달러를 넘으면 수입업자가 직접 중앙은행을 찾아가 허가를 받아야 한다.
아르헨티나 정부와 중앙은행의 이 같은 조치 때문에 브라질산 제화 80만 켤레와 버스 40대가 이번 주 수입 허가를 받지 못한 채 발이 묶여 있다. 완성차와 자동차 부품 수출업체들은 대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fidelis21c@yna.co.kr
|